보건복지부는 2025년 1월 10일, 「건강검진실시기준」을 일부 개정하여 국민의 건강을 위한 검진 항목과 기준을 조정하였습니다.
매년 진행되는 이 검사들은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특히 정기적인 건강검진은 조기 발견과 치료에 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우리 모두 잘 알고 준비해야 합니다.
대상자 및 자격
2025년 건강검진 대상자는 출생연도가 홀수인 분들입니다.
구체적으로 1959년부터 2005년까지 태어난 분들이 해당되며, 만 20세 이상 건강보험 가입자와 피부양자도 포함됩니다. 검진 기간은 202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니, 이 기간 내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직장가입자와 지역 세대주가 포함되므로, 개인 상황에 맞게 준비해야 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 건강검진 대상자
- 건강보험 가입자: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세대주 및 20세 이상 세대원), 피부양자 중 20세 이상인 자
- 의료급여 수급권자: 20세부터 64세까지의 세대주 및 세대원
검사 항목
건강검진에는 어떤 항목들이 포함될까요? 기본적으로 신체 측정, 혈압 측정, 혈액 검사, 소변 검사, 심전도 검사 등이 있습니다. 나이에 따라 추가 검사 항목도 있어, 40세 이상이라면 위내시경이나 대장내시경 검사가 권장될 수 있습니다. 검진 항목은 매년 조금씩 변경될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요 검진 항목 및 주기를 알아보면
- 혈압, 당뇨, 고지혈증 검사: 일반 건강검진 시 포함
- B형간염 검사: 40세 대상(보균자 또는 면역자 제외)
- C형간염 항체 검사: 56세 대상
- 골밀도 검사: 54, 60, 66세 여성 대상
- 인지기능장애 검사: 66세 이상, 2년마다 실시
- 정신건강검사(우울증): 70세로부터 10년동안 1회
- 생활습관 평가: 40, 50, 60, 70세 대상
- 노인신체기능검사: 66, 70, 80세 대상
- 구강검진: 40세 대상
영유아 건강검진
- 대상자: 6세 미만의 영유아
- 검진 주기: 생후 14일~71개월까지 총 8회 실시
- 검진 항목: 성장 발달, 비만, 시각 및 청각 이상, 구강 건강 등
암 검진 항목
- 위암: 40세 이상, 2년마다 위내시경 또는 위장조영검사
- 대장암: 50세 이상, 매년 분변잠혈검사
- 간암: 40세 이상, 고위험군 대상, 6개월마다 초음파 및 혈액검사
- 유방암: 40세 이상 여성, 2년마다 유방촬영
- 자궁경부암: 20세 이상 여성, 2년마다 자궁경부세포검사
- 폐암: 54세~74세 이상, 고위험군 대상, 2년마다 저선량 흉부CT검사
2025년 주요 변경 사항
- 정신건강검사 확대: 청년층을 포함한 다양한 연령대에서 정신건강검사(우울증, 조기정신증 등)를 확대 실시합니다.
- 건강검진 신규 항목 시범 운영: 예방 중심의 건강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검진 항목을 시범 운영합니다.
검진 예약 방법
검진은 주로 가까운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진행됩니다. 전화나 인터넷을 통해 사전 예약이 가능하며, 대부분 병원 홈페이지에서 예약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필요한 경우 직접 방문하여 상담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건강검진의 중요성
정기적인 건강검진은 단순한 의무가 아니라 건강을 지키기 위한 필수 과정입니다. 작은 증상이라도 미리 확인하고 대처하면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2025년 검진은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 발견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필요하신 경우, 검진 대상 여부나 자세한 사항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이 어렵게 느껴질 때 - 어르신들을 위한 보안 설정법 (0) | 2025.05.09 |
---|